본문 바로가기

마케팅칼럼

레드오션 유튜브, 마케팅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어떨까?

유튜브를 문의주시는 분들 중 가끔 이런 고객분들이 있습니다.

'유튜브 이미 차고 넘치는데 거기다가 돈쓰고 시간쓸 바에 다른데다 쓰는게 낫지 않겠어요?'

치밀한 분석 끝에 내린 결론인지, 겉으로만 판단해보고 내린 결론인지 알 수는 없으나 저희가 늘 드리는 말씀은 이겁니다.

'브랜드를 키우실거면 언젠가는 해야하는데, 그러려면 지금부터 한개씩이라도 올려야해요'

레드오션에 뛰어드는게 과연 옳은 일이 맞는걸까요?

일반인의 레드오션 = 경쟁이 높다
마케터의 레드오션 = 보는 사람이 많다

경쟁이 높은 다른 플랫폼도 많은데, 유튜브를 망설이는 이유는?

 

마케팅, 홍보를 하려면 모든이들이 갖춰야할 필수적인 행동 하나가 있습니다. 

바로 누군가는 이걸 '봐야'한다는거죠.

대한민국 사람들이라면 대부분 활용하는 '초록창' 검색엔진 플랫폼에서의 광고가 유행하는 이유도 바로 이런건데요.

사용자가 많으니 보는사람도 많고, 광고 항목도 많은것입니다.

그럼 초록창이나 유튜브나 매한가지 같은데, 사람들이 유독 유튜브의 진행을 고민하는 이유는 뭘까요?

저의 추론결과로는 세가지입니다.

첫번째, 영상을 만든다는 행위의 부담

이 부분은 직접 만들지 않아도 업체를 통해 제작해도 좋은데, 이럴 경우 금액 부담이 높아지죠.

블로그를 꾸준히 관리하여 마케팅하는 대행사의 평균적인 월 관리 금액의 몇배는 되는 금액으로 1건을 제작한다고 하니, 당연히 부담되죠.

두번째, 얼굴을 공개해야 한다는 부담

개인사업자부터 대기업까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얼굴을 밝히고 신뢰도를 조금더 챙기는 형태로 영상을 제작하여 업로드하고 있죠.

허나 일반인에게 유튜브란 TV처럼 많은 이들이 보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부담이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얼굴을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물론 많죠?

그런데 몇몇분들은 '내가 이런 영상을 촬영한다' 라는 행위 자체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마지막 세번째, 성공에 대한 확신여부

이는 첫번째 항목과도 조금은 연관될 수 있는데, 시간과 돈을 들여 영상을 제작해놨는데 1년이 지나도 조회수가 두자리, 세자리에 머무르는 경우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보장된 Output이 없는데 Input에 더 투자하기란 쉽지 않은 결정인걸 알고 있습니다.

"이미 수 많은 동종업계에서 유튜브를 하고 있는데, 내가 이 돈과 시간을 들여서 제작해도 그들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서 홍보를 성공시킬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의 연장선인거죠.

실제로 많은 고객분들을 만나보면 대다수의 분들이 세가지 이유로 꺼려하십니다.

그럼 저희는 이야기하죠.

 

얼굴 안나오는 방향으로 해서!
만들기도 쉽고 금액부담도 적은

쇼츠는 어떠세요?

 

근 몇년간 SNS플랫폼 콘텐츠 유행의 근간이 되었던 '쇼츠'

쇼츠의 등장은 모든 세대의 문화와 사람들의 성향에 영향을 줄 만큼 큰 영향을 주고있습니다.

1편당 평균 30초~1분에 불과한 쇼츠의 시청시간은 일 평균 1시간을 넘으며,

통계를 확인하는 사이트 내에서 국가별 유튜브 평균 이용자수 '최하위'인 캐나다의 이용자수가 무려 3,450만명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4,430만명인데요

이런 결과만 봐도 쇼츠의 파급력이 어느정도인지, 또 왜 문화와 성향에도 영향을 주고있는지 짐작할 수 있죠.

실제로 쇼츠같은 스낵컬쳐로 인해 평균적인 사람들의 집중력이 저하되었다는 일각의 주장도 있을 정도니까요.

쇼츠의 유행 이후로 저희가 분석해본 결과로는 유튜브를 진행할 때 중요한건 '물량'이라고 말씀드립니다.

질보단 양이라는 말씀이죠.

많은 갯수의 쇼츠를 올려두고 많은이들이 쇼츠를 넘겨볼 때 우리업체의 영상이 노출될 수 있게끔 하는거죠.

개중에 하나의 영상에서 반응이 나오고, 이런 영상들이 반복되면 채널이 성장하는건 자연스레 따라오는거죠.

쇼츠의 유행은 '홍보를 원하는 다양한 채널'이 등장하고 있는 요즘 시대에 딱 필요한 유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금액, 시간부담을 적게들이고 갯수를 많이 올리면 될 일이죠.

물론 그렇다고 전혀 알맹이 없는 내용을 올리라는 말씀은 아니지만, 진행을 안하고 계신 분들은 처음엔 많이 올리는데에 집중하는게 맞다는 말씀입니다.


유튜브의 유행에 따라 유튜브 마케팅의 시장의 진입장벽이 더 높아진건 맞습니다.

그러나 더 어려워지고 진입장벽이 높아질 수록 사람들이 많다는것이고, 보는사람이 많아야 마케팅도 결국 성공하기 마련입니다.

유튜브를 진행하는건 상황과 여건에 따른 개인의 선택이지만, 제가 짚어드린 고민거리로 인해 진행을 고민하고 계셨던 분들은 생각하는 방향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